손으로 만져보기/그림들

국박...우리 강산을 그리다. 1

레이지 데이지 2019. 9. 5. 19:49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화가들의 시선.

 

 

총석정

叢石亭

 

요약정보

아티스트 이인문(李寅文)

호 유춘(有春)

국적 조선

출생-사망 1745년~1821년

제작연도 18세기 후반 ~ 19세기 초반경

종류 한국화

기법 지본담채

크기 28.0 x 34.0cm

소장처 간송미술관

단원 김홍도의 절친한 친구로 김홍도와 더불어 화단을 풍미했던 고송유수관(古松流水館) 이인문(李寅文, 1745-1821)은 겸재 정선 화풍과 현재 심사정 화풍을 소화하여 산수화로 이름을 높인 화원입니다. 다만 김홍도와 달리 남아있는 진경산수화는 많지 않습니다.

 

 

총석정은 강원도 통천에서 동해변을 따라 동북쪽으로 7킬로미터쯤 올라가면 있습니다. 총석정은 육모의 기이한 돌기둥과 동해의 창활한 바다와 어우러져 관동팔경 중에서도 가장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여 많은 시인묵객(詩人墨客)들이 시화(詩畵)로 총석정을 찬미했습니다.

 

 

수직준(垂直皴)으로 표현된 돌기둥과 붓을 뉘어 찍은 점들로 처리한 언덕에서는 정선의 영향이 보이고 분방한 파도 표현에서는 심사정의 영향이 보입니다. 그러나 면밀히 계산해서 경물을 배치하여 주제를 뚜렷이 드러낸 화면 구성은 이인문 특유의 장점입니다. 화면 왼쪽 아래에서 시작되어 바다를 향해 솟은 반원의 언덕은 감상자의 시선을 총석정까지 자연스럽게 끌고 가는데 시선은 반원의 동선을 따라 바다까지 연장됩니다.

 

 

이 반원 구도 안에 수직으로 솟아난 세 개 돌기둥은 대소와 농담을 변화시키면서 화면 한가운데로 끌어내어 한껏 부각시켰습니다. 총석정 주변에 핀 꽃을 표현한 붉은 점들은 화면 전체에 흐르는 푸른 색조와 대비되면서 동시에 총석정에 시선을 모아주고 있습니다. 다만 동해바다의 경직된 수평선이 부자연스러운데 이는 보이는 것을 정확히 옮겨내려는 생각에서 기인한 것입니다. 이것은 이전의 산수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인식과 표현입니다. 겸재와 현재는 물론, 서양화풍까지 가미하여 이루어낸 걸작입니다.



 

김상겨의 송파나루.

소장자가 낙관과 글씨를  임의 대로 첨부하여 작품성을 망친 대표적인 실례. 소유권 주장 때문이다.

 


 


금강역사...혜초의 서역기가 그림으로 표현하고 싶었다고 한다.

맹자의글 한글/초서 중국 장서.

옛말에 초서는 설명을 하지마라. 는 그 금언처럼 그 흐름을 보라고 했다. 


 

금강산.

동해와 이루어져 완벽한 음양을 상징

금강산을 무려 11번 방문하여 관찰과 스케치를 하였다고 한다.

 

물고기가 되어서 연꽃모습으로 금강산이 머금고있는 모습. 


 

 

 

 

특별하게

....박대성화백 님의 강연이 있어서

 

중국은...국화: 国画가 너무 현대화가 이루지 못한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일찌기 조기 교육을 시도 한다고 한다. 유치원에서 서법..서예를 시작한다고. 이에 비해 한국화은 국가정책으로 기본이 서 있지 못하다.

국악-음악은 유치원 시절부터 있으나 그 달리 수묵화 그림은 그 시작이 대학에서 서양화의 반대로 구색을 맞추는 모습으로 있어서 존재하다. 신랄하다.

 

박대성...1945년生

어려서 몸이 다쳐서 집안에서 몸을 쓰지않는 생계유지 수단으로 그림을 가르쳤다. 게다가 부인이 서양화를 전공하신 분이어서 자연스레 동서양의 질감의 조화가 형성되었다 한다.

 

대기만성과 소질의 문제. 교육의 문제...서예의 관하여...

서법에 대하여 엄격하게 지도하여 마음이 편치않아서 도중에 멈추었으나 후에 큰대가께서 한 번 보자고 하셔서 보여 드렸더니 이제 그만 배워서 그려도 된다는 말에 자유로움을 느끼고 바로 깊은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처음에는 탄탄한 기초로서 나무잎을 세면서 그렸지만 시간이 흐르며 추상이 형성.

전통을 먼저 수용하여 현대를 이해하다....화가의 시선. 그리고 심상

 

서앙과 동양의 차이.

겸제 정선의 단발령에서 본 음양.

암산과 토산

음과 양의 대비. 망금강...사람.

 

무엇보다 중요한 기초이다

그 중 '글씨'는 형과 관의 디자인의 조형세계를 이른다.


서울 강북생활에서 움직임, 활동의 스트레스가 심하여 탈 서울하여 경주로 갔다. 경주생활중...안정을 찾고

작업에 몰두 할 수 있었다고 하신다.

선생의 작품은 대다수 솔거미술관에서 많은 작품을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