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난처럼 길고, 꽃은 푸른 빛이 도는 보라색이다.
높이는 60-90cm 정도이다.
줄기는 뭉쳐나며 곧게 뻗고, 잎은 긴 선 모양을 하고 있다.
5-6월경이 되면 잎 사이에서 꽃자루가 나와 그 끝에 청자색 꽃이 달리는데, 이들 꽃은 하루가 지나면 시들게 된다.
암술대의 가지가 꽃잎 모양으로 넓어져 그 바로 아래에 있는 수술을 덮고 있다.
원줄기는 총생하고 밑부분에 적갈색 섬유가 있다.
잎은 곧추서며 길이 30-50cm, 너비 5-10㎜로서 융기한 맥이 없고 밑부분이 잎집 같으며 붉은 빛이 도는 것도 있다.
열매는 삭과로 삼릉주형이며 삭과의 끝이 터지면서 갈색의 종자가 나온다.
붓꽃은 들과 산기슭에 자라며 한국 각지에 나고 일본·만주·동시베리아에 분포하고,
뿌리에는 소화·구어혈·소종의 효능이 있어 민간에서는 소화불량·복창만·질타손상·치질·옹종·개선 등의 치료제로 사용한다.
붓꽃의 '꽃말은 좋은 소식, 신비로운 사람' 입니다‥
그걸 여러 붓꽃종류로 나누어서 꽃말을 말하면、
노란붓꽃이 '믿는자의 행복'이구요
제비붓꽃은 '행운이 온다'
제비붓꽃(Rabbit-Ear Iris)
붓꽃과에 속하는 제비붓꽃은 여러해살이로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갈색 섬유로 덮이고 줄기는 곧게 선 원주형이며 높이가 50∼70cm정도 된다.
잎은 검상의 넓은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중륵이 없으며 나비가 2∼3cm이다.
5∼6월경에 꽃줄기 끝에 3개씩 달리며 짙은 자주색 꽃이 핀다.
외화피는 현부가 길이 6∼7cm로서 뒤로 처지고 타원형 둔두이다.
또한 밑부분 중앙이 황색이며 닭의 볏 같은 돌기가 없다. 내화피는 서고 도피침형이다.
3개의 수술은 암술머리 뒷면에 숨겨져 있으며 꽃밥은 황색이며 가장자리는 자색이다.
번식은 포기나무기로 한다. 관상용으로 이용하며 많은 원예품종이 있다.
산붓꽃- 각시붓꽃[산난초-Iris rossii]
붓꽃과의 여러해살이 풀. 높이는 10~15cm 잎은 칼집모양이다.
붓
제비붓꽃
붓꽃 : 좋은 소식, 신비로운 사람
이른 봄 피어나는 꽃 봉오리가 옛날 선비들이 쓰던 붓을 닮았다하여 붓꽃이라 불리어왔 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칼 모양을 닮은 잎 때문에 용감한 기사를 상징하는 꽃으로 알려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프랑스의 국화가 되었다. 꽃 가게에서는 아리리스(Iris)라 부르곤 하는데 아이리스란 이 식물의 학명이다. 꽃을 뜻하는 아이리스란 단어는 외국에서 여성의 이름에 흔히 쓰이는데, 아이리스란 원래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신의 이름으로 제우스와 헤라의 뜻을 전하기 위하여 무지개를 타고 지상으로 내려 왔다는 전설이 있다. 붓꽃과에 속하는 식물 중 노랑붓꽃(Iris koreana)은 학명 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반도 전역에서 자생하는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옛부터 우리나 라 사람들에게는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는 약재로쓰여 왔다. 그러나 요즘 전 국토적 으로 앓고 있는 환경 오염과 개발으로 우리 주변에서 점점 사라져 매우 희귀한 꽃이 되었다. 특히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식물은 그들의 색깔이 아름답기 때문에 사람들에 눈에 쉽게 띈다. 그러나 그런 아름다움은 야생화를 이 땅에게 희귀한 존재로 만든 원인 중의 하나이다. 사람들은 등산을 하다가 눈에 보이는 꽃을 무작정 꺽는다. 그러나 꽃이란 식물의 생식기이다. 꽃을 피워 자손을 만들기위해 추운 겨울을 땅속에서 지 내다가 좋은 기회를 봐서 정성껏 피워올린 꽃을 아무런 가책 없이 꺽어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생식기관을 잃어버린 식물은 자손을 퍼뜨릴 기회를 잃어버리고 죽어가거 나 기약도 없는 다음해 봄을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인간의 이기심과 자신의 아름다움 때문에 우리 곁을 떠나고 있는 아름다운 한국의 야생화를 보호하는 마음과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 주길 이 글을 빌어 간절히 부탁드리는 바이다.
타래붓꽃
사랑을 머금고 선 꽃의 요조숙녀
붓꽃은 그 함초롬한 꽃봉오리가 마치 먹물을 머금은 붓과 같다 하여 붙여진 우리의 이름이다. 타래 붓꽃은 여기에 줄기가 실타래처럼 꼬여 자라므로 그런 이름이 붙었다. 일반적으로 붓꽃류의 식물을 두고 창포나 아이리스(Iris)라고부르기도 하는데 사실 단오날 머리감는 창포와 붓꽃류는 전혀 다른 식물이며 아이리스란 서양이름은 세계가 함께 부르는 붓꽃류를 총칭하는 속명이니 그리 부른다고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아이리스는 알아도 붓꽃이나 타래붓꽃이라는 우리 이름은모르고 있으니 이는 문제가 아닐까? 서양이름 아이리스는 무지개란 뜻이다. 이꽃의 꽃말은 비 내린 뒤에 보는 무지개처럼 '기쁜 소식'이다. 동시에 프랑스의 나라꽃이기도 하다. 여신 주노의 예의가 바른 시녀 아이리스는 쥬피터가 집요하게 사랑을 요구하자 자신의 주인을 배반할 수 없어 무지개로 변하여 주노에 대한 신의를 지켰다는 전설을 가진 그 이유 때문인지 이 꽃은 여름을 재촉하는 비가 촉촉하게 내리거나 혹은 이른 아침 이슬을 머금고 싱싱하게 피어 오를 때 가장 아름답다.
붓꽃이야기
옛날 이탈리아에 아이리스라는 참 아름다운 미망인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많은 사람들의 유혹에도 불구하고 혼자서 정절을 지키고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날 부인이 언덕 위를 산책할 때 한 젊은 화가가 부인을 보고 사랑을 느껴 구혼하였으나 부인은 "나비가 날아와서 앉을 정도로 꼭 살아있는 것과 같은 꽃을 그릴 수 있으면 결혼하겠어요"라고 했습니다.
화가는 많은 노력 끝에 그림을 완성했습니다.
그러나 부인은 그 그림을 보고 "꽃은 잘 그렸는데 향기가 없군요"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때 어디선가 나비가 날아와서 그 그림에 앉았습니다. 화가는 "내가 이겼습니다"하고 부인을 끌어안았습니다.
부인은 화가의 품에 안겼습니다. 그 그림의 꽃이 붓꽃이었습니다
외래종이라 이름을 알기 어렵네요.
밑에서 두번째는 우리 붓꽃종류네요. . .
우리 붓꽃도 종류가 여럿입니다.
노란색인 금붓꽃. 노랑무늬붓꽃.만주붓꽃.
보라색의 붓꽃. 각시붓꽃. 난쟁이붓꽃. 타래붓꽃. 제비붓꽃. 등심붓꽃이 있고
흰색의 흰붓꽃이 있습니다.
스위스에서 보는 봄꽃입니다. 이름을 알고 싶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