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언제가..
이 영화를 박순천 과장이 말해서 후가때 혼자서 보았다.
그 음악선율이 어찌나 아름다웠는지...Gabriel's Oboe(영화 '미션' 주제곡) / Yo-Yo MA
마지막 장면에
몇 안 남은 고라니족 아이들이 떠나는 모습이란...
--이 영화는 1750년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와 브라질 국경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실화이다.---
<교황님의 영토 끝에서 발생한 문제는 해결됐습니다,
인디언들은 다시 스페인과 포르투갈인의 노예가 될 겁니다.
시작이 맘에 안 드는군, 다시 고치게. 교황님, 1758년, 지금 저는 남미 대륙에서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여긴 남미 라플라타의 앙상센이란 마을인데, 산 미겔 선교회에서 도보로 2주 걸립니다.
이 선교회는 개척민들로부터 인디언을 보호하려 했으나, 오히려 반감을 사고 있습니다.
이곳 인디언들은 음악적 재능이 풍부하여, 로마에서 연주되는 바이올린도 그들이 만든 것이 많습니다. 이곳으로 파견된 예수교 신부들은 인디언들에게 복음을 전하려 했지만, 오히려 순교를 당하게 됐습니다>
1750년, 스페인과 포루투갈은 남미 오지에 있는 그들의 영토 경계 문제로 합의를 보았으나 유럽 한구석의 탁자 위에서 그은 선이 얼마나 끔찍한 사태를 불러 일으킬 지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
이 영화의 두 주인공은 예수회의 사랑으로 가득찬 '가브리엘'신부와 용병이자, 노예상인인 다혈질 사나이 '로드리고 멘도자'다. 가브리엘신부는 자신이 폭포위의 미개척지로 보낸 선교사가 원주민들에게 살해당하자, 그의 임무를 대신하기 위해 죽음을 무릅쓰고 스스로 폭포위를 향한다. 다행히도 그가 연주한 오보에의 선율에 원주민들은 적개심을 누그러 뜨리며 그를 받아들였고, 결국 그의 목숨을 건 선교는 성공한다.
다른 한편 잔인하고, 폭력적인 노예사냥꾼 멘도자는, 자신이 사랑하던 여자가 친동생인 필리페를 사랑한다고 말하자, 그것을 분노와 배신감으로 받아들이곤 홧김에 친동생을 칼로 찔러 죽이고 만다. 그 후에 멘도사는 사랑하는 동생을 자기 손으로 죽이고 말았다는 죄책감에 휘말려 삶의 의지를 상실한체 지내다가 가브리엘신부와 만나게 된다. 멘도자는 자신이 사냥하던 과라나족에게 지은죄를 회개하기라도 하듯이 자신이 사용하던 칼과 갑옷들을 짊어진체, 가브리엘 신부를 따라 맨몸으로도 오르기 힘든 길을 오른다. 천신만고 끝에 과라니족의 부락에 도착한 멘도자에게 주어진것은, 자신의 혈족을 팔아넘긴것에 대한 복수나 분노가 아닌 용서와 관용이었고, 멘도자는 과라니족과 가브리엘신부의 사랑에 완전히 감화되고 만다. 그후 멘도자는 예수회의 수사를 자원하여 과라니족을 위하여 일을 하게 된다.
멘도자와 가브리엘신부 그리고 과라니족들은 폭포위의 마을에서 마치 태초의 에덴동산에서 살던 사람들이 그랬을것처럼, 순수한 행복과 서로를 향해 사랑을 배풀며 지내게 된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은 그들의 행복한 삶을 가만히 놔두지 않았으니, 폭포위의 마을의 지배권이 스페인에서 포르투갈에게 양도되며 갈등이 시작된다. 카톨릭국가로서 예수회의 권위를 인정해주던 스페인과 달리 포르투칼의 왕은 무신론자였고, 그런 포르투칼의 입장에서 폭포위의 마을에 살던 과라니족은 당연히 확보해야할 노예노동력에 불과했다. 결국 이 원주민들이 제대로 선교를 받아들이고 있는 '인간'인지 아니면 유럽인들처럼 종교를 받아들일수 없는 '짐승'인지를 판결하기 위해서 알타미라노 추기경이 파견된다.
원주민들의 마을에 도착한 알타미라노 추기경은 개화된 마을을 보고서 큰 감동을 받게 된다.
그러나 사실 추기경은 이곳에 와서 원주민들의 실태를 보기 전부터 이미 이곳이 버려지게 될 것이란걸 알고 있었고, 가브리엘신부와 그동료들, 그리고 지금은 수사가 된 멘도사에게 이곳을 떠나길 종용한다. 그러나 신부들은 과라니족을 버리지 않았고, 결국 그들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고야 만다. 결국 추기경은 홀로 살아남아 이미 기독교인이 된 과라니족과 신부들의 희생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해나간다... 기 때문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그리하여... 신부들은 죽고, 저만 살아 남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죽은 건 나고, 산 자는 그들입니다.
그것은 언제나 그렇듯 죽은 자의 정신은 산 자의 기억 속에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손으로 만져보기 > 영화읽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깊어가는 가을을 보며--05년 단상 (0) | 2009.09.21 |
---|---|
브루클린으로가는 마지막 비상구 (0) | 2009.09.20 |
햄릿을 읽으며 계속 생각났던 중국영화-야연 (0) | 2008.01.17 |
통하였느냐? (0) | 2006.04.17 |
달콤한 인생 (0) | 200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