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남은 맛남이다. 누구든 일생에 잊을 수 없는 몇 번의 맛난 만남을 갖는다. 이 몇 번의 만남이 인생을 바꾸고 사람을 변화시킨다. 그 만남 이후로 나는 더 이상 예전의 나일 수가 없다. 그런 만남을 그저 흘려보내놓고 자꾸 딴 데 가서 기웃대며 불운을 탓한다.
그 만남은 꼭 동시대 사람과의 일만이 아니었다. 정민 교수가 들려주는 연암과 다산의 이야기는 무척이나 생생해서, 마치 정민 교수가 어제도 그 스승을 만나고 온 듯 느껴졌다. 정민 교수는 그들의 기록을 찾고 연구하고, 당시 상황과 그들의 심정을 상상하며 글을 써왔다. 그들의 연구법을 공부하면서 그는 연암, 다산, 이덕무 등의 스승과 몇백 년을 뛰어넘는 교제를 해왔다.
『책 읽는 소리』(2002) 『미쳐야 미친다』(2004), 『다산 선생 지식경영법』(2006), 『다산어록청상』(2007), 『다산의 재발견』(2011), 『새로 쓰는 조선의 차문화』(2011) 등 한시, 한문학, 조선 시대 지식인들에 관한 책을 꾸준히 내고 있는 정민 교수는 성실하고 끈기 있는 연구자이자 조선 최고 학자들의 제자인 셈이다.
동시에 독자들에게 그는 친절하고 다정한 스승이다. 정민 교수의 꼼꼼한 자료조사와 섬세한 문장은 난해하고 행간이 큰 한시의 속내를 들춰낸다. 조선의 문장을 동시대의 언어와 감수성으로 즐길 수 있는 까닭은 역시 고전의 힘일 테다. 허나 유독 그의 책이 많은 독자에게 환영받는 것을 보면, 조선과 지금의 시차를 논리적으로 감성적으로 이어내고 있는 파워라이터 정민 교수의 힘도 적지 않다는 걸 알 수 있다.
스승이 내린 한 편의 글에 고무되어 삶이 바뀌다
강진 유배지를 배경으로 인간적이고 엄격한 스승이었던 다산의 새로운 모습이 보이고, 부단한 노력으로 스승의 말씀을 좇았던 제자이자 이제껏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 황상이 재조명된다.
한양대 연구실에서 정민 교수를 만났다. 연구실 벽을 두르고 있는 소동파 적벽부 글귀가 우선 눈에 띄었다. 방안이 책과 자료로 빽빽했다. 향이 좋은 차를 우리며, 정민은 다산과 연암, 그의 삶을 바꾼 만남과 공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사제지간의 좋은 만남을 이루기 위해서는 좋은 스승 못지 않게 좋은 제자의 역할도 크다. 귀를 기울여보면 정민 교수의 어느 한마디가 어느 독자의 마음을 강하게 두드릴 지, 삶을 바꿀 인연을 만들어낼지 모를 일이다.
다산은 마치 지금 우리가 컴퓨터로 하는 작업을 당대에 해낸 사람이다. 그것에 대한 연구를 『다산선생의 지식경영법』에 썼다. 미국에서 그 책을 쓰고 돌아오니, 한국에 엄청나게 많은 다산 자료가 연구되지 않은 채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충격에 빠졌다. 알면 알수록, 우리가 기존에 알던 것보다 훨씬 대단한 인물이었다. 자료가 고구마 넝쿨처럼 나왔고, 욕심이 생겨 뒤지다 보니 여기까지 왔다.”
신념으로 살아갈 수 있는 힘, 공부가 줘야 한다
사의재는 내가 강진에 귀양 와서 사는 집이다. 생각은 담백해야 한다. 담백하지 않으면 서둘러 이를 맑게 해야 한다. 외모는 장중해야 한다. 장중하지 않으면 빨리 단속해야 한다. 말은 과묵해야 한다. 과묵하지 않으면 바삐 멈춰야 한다. 동작은 무거워야 한다. 무겁지 않거든 재빨리 더디게 해야 한다. 이에 그 방에 이름을 붙여 사의재라 하였다.(…)
의로움으로 통제한다는 의미다. 나이가 들어감을 생각하다보니 뜻과 학업이 무너진 것이 슬퍼서 스스로 반성하길 바란 것이다.
시비와 이해의 두 저울이 있고, 행동에는 네 개의 결과가 나온다. 옳은 일을 해서 좋게 되는 경우, 옳은 일을 해서 해롭게 되는 경우. 나쁜 짓을 해서 이익을 보는 경우. 나쁜 짓을 해서 해롭게 되는 경우. 첫 번째와 네 번째는 문제가 없다. 문제가 되는 것은 두 번째와 세 번째의 선택이다.
오늘날의 교육은 세 번째를 요구한다.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이겨야 하고, 옳은 일을 하다 손해 보는 것은 바보라고 말한다. 교육은 두 번째와 세 번째 중 어디에 우선 가치를 두느냐의 문제다. 황상은 두 번째의 길을 갔고, 이학래는 세 번째의 길을 갔다. 이 결과가 극명하게 달랐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 이롭고 해로움의 문제 보다, 옳은 것의 가치가 인정받고 우선시 되는 사회를 강조하고 싶었다.
첫 번째 선택은 드물다. 두 번째는 싫다. 세 번째를 하려다가 네 번째가 되어 버리는 게 인생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 판단에서 어디에 우선 가치를 두느냐에서 삶이 엇갈린다. 내가 손해 보면서도 옳은 신념으로 버티는 힘을 공부가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虛 靜 ...우두커니, 멀거니 > 낯설게 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 혜곡 최순우, 한국미의 순례자 (0) | 2012.07.01 |
---|---|
책- 사찰의 상징세계 (0) | 2012.07.01 |
책- 이름없는 毒. (0) | 2011.12.31 |
일본 다시 보기(re-spect) : 왜인의 기원을 찾아서 (0) | 2011.12.26 |
시각과 현대성(---) (0) | 2011.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