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리게 피는 꽃/하늘 땅 바람....그리고 물, 불

[스크랩] 700년전 고려시대 연꽃 “아라홍련” 수줍은 새색시처럼 세상에 선보여

레이지 데이지 2012. 7. 30. 00:13

 

 

 

 

 

 

 

 

 

 

 

 

 

 

 

 

 

 

 

 

 

함안박물관 阿羅紅蓮(아라홍련)   경남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 748

2009년 5월7일 우리나라 최대의 목간(木簡·글을 적은 나뭇조각) 출토지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

함안군 가야읍 조남산  성산산성(사적 67호) 연못터 지하 4∼5m 토층에서 연씨 10개을 발굴하였다.  

함안군은 연대 확인을 위해 2개를 한국지질자원연구소에 보내 각각 650년 전, 760년 전의 감정 결과 확인됐다.
나머지 8개 가운데 5개는 함안군농업기술센터에서, 3개는 함안박물관에서 싹 틔우기를 시도해 각각 2개, 1개가 발아했다.

阿羅紅蓮(아라홍련)으로 명명
연 씨앗의 생명력은 1만 년에 이르며, 일본에서는 2000년 된 연 씨앗이 발아해 꽃을 피운 적이 있다.

 

박물관입구 시배지에서 2012년 6월20일 개화를 시작해서 7월 20일 현재 만개한상태이다..

함안박물관에서 싹을 틔우고 대형 화분에서 피운 연꽃 두 송이는 꽃 가장자리에 붉은 빛이 약간 감도는 담홍색을 띠었다.

 

♠ 함안군은 함안박물관 앞에 있는 작은 연못 1649㎡시배지에 이식된 150포기에서 아라홍련이 활짝 피었다. 
   이곳에는 700년 전 고려시대 연꽃인 아라홍련이 오랜 세월의 비밀을 간직한 채 활짝 피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다.

   꽃잎은 하단은 백색, 중단은 선홍색, 끝은 홍색으로 현대의 연꽃에 비해 길이가 길고 
   색깔이 엷어 고려시대의 불교 탱화에서 볼 수 있는 연꽃의 형태와 색깔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이 아라홍련을 즐기려 1주일에걸쳐 3번을 함안박물관을 찿았다.

   박물관 관계자에게 시배지 문개방을 청하였더니 무더운 날씨인대도 웃으면서 반갑게 문을열어주셨다.

  

   마음껏 음미한후 박물관에 전시중인 유물들도 잘 구경하고 ,

   매우 궁금하던 무기연당의 何換亭圖를 만나볼수있어서 매우 뜻깊은 날이었다.

 

 

출처 : 참 나를 찾아 산사로의 여행
글쓴이 : 木石 원글보기
메모 :

'느리게 피는 꽃 > 하늘 땅 바람....그리고 물, 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양목- 그는 금강 소나무이다.  (0) 2012.08.28
양수리의 연꽃  (0) 2012.07.30
양귀비 이야기  (0) 2012.06.15
꽃선물  (0) 2012.05.30
떼죽나무  (0) 2012.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