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타사 마애불(普陀寺 磨崖佛)은
조계종 개운사의 암자(칠성암)인 보타사 대웅전 뒤쪽 화강암
암벽에 조각된 고려시대의 마애불상입니다.
이 불상은 1992년 6월 28일에 서울문화사학회가 정기 답사 때 발굴하여
이를 서울특별시와 문화재관리국에 각각 문화재로 지정할 것을 공식으로 요청하여
서울시 문화재위원회에서 심의한 결과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입니다.
높이5m, 폭4.3m되는 거대한 이 보살상은 머리에는 좌우 옆으로 뿔이 있는 관을 쓰고
뿔끝에는 복잡하게 장식된 타원형 누리개가 늘어져 있습니다.
얼굴 생김새가 토실토실하며 어깨가 넓고 장대한 형상은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광배와 대좌는 없고 비교적 자연스럽고 미감이 풍부한 표정에 옷은 통견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최근에 온몸을 흰색으로 도색하여 백불의 인상을 풍기는 중에 입술은 붉은색,
눈과 눈썹, 윤곽은 검은색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마애불 어깨쪽의 좌우에 홈이 패여 있는 것으로 보아 불상을 보호하던 전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마애불 오른쪽 아래에는 제작 당시에 새겨진 명문(銘文)이
남아 있습니다.
낮은 부조로 새겨진 이 마애불상은 몸 전체에 호분(胡粉)이 칠해져 있어서
흔히 '백불(白佛)'이라고도 부르며, 이처럼 불상에 호분을 두껍게 칠한 백불의 예로는
고려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서울 홍은동 “보도각” 마애보살좌상과
안성 굴암사 석조약사여래좌상 등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보타사는 고려대학교 안으로 들어가면 교내에서 보이는데, 철조망을 둘러 놓아서
멀리 돌아서 들어가야 합니다.
지도상으로는 교내에 있지만 학교 안에서 보타사로 가는 길은 없었습니다.
고려대에서 보타사를 가려면 다시 고려대 정문으로 나와서 안암역 방향으로 걸어갑니다.
안암역 2번 출구 방향에서 개운사 골목으로 쭉 올라가면 됩니다.
그런데 이 골목에 TV에 여러 차례 나왔던 '영철 스트리트버거'라는 집이 있는데,
햄버거 1개 천원에 음료수는 공짜로 먹고 싶은 대로 먹을 수 있습니다.
이곳의 하루 매출이 일반인 한 달 월급 버금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답사를 다니다 보면 운동량이 많아서 배가 쉬 고픕니다.
답사를 다니다가 이곳처럼 싸고 맛있는 집이 있으면 간단히 요기도 할 겸,
잠시 쉬어가기도 합니다. 요기가 되었으면 다시 골목으로 조금 더 들어가면
개운사 일주문이 보입니다. 일단, 개운사도 한 번 둘러보아야지요...
개운사 일주문을 지나면 넓은 공간은 주차장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운사 건물은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개운사는 오래된 사찰인 것 같은데, 근래에 불사가 있었는지, 고찰 스럽지는 않습니다.
개운사를 나와서 우측 골목으로 올라가다가 막다른 골목 좌측으로 들어가면 오른쪽에는
김포로 이전된 승가대 건물(현재 승가대 보육교사교육원으로 사용)이 있으며,
정면에는 대원암이란 현판이 걸린 한옥이 한 채 있습니다.
대원암 좌측으로 돌아서 들어가면 정면에 보타사 입구가 보입니다.
보타사 마애불은 대웅전 바로 뒤에 있는데다가 좁은 대웅전 뒤편에 건물을
덧붙여지어서 마애불 앞의 공간은 거의 없으며, 마애불을 정면에서 보기는 어렵고
측면에서 보아야 합니다. 덧붙인 건물은 철거를 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됩니다.
마애불이 문화재로 지정되기 이전에 대웅전이 좁아서 먼저 계시던 스님께서 대웅전 뒤편을 확장하셨답니다.
대웅전의 확장된 뒷부분을 헐어 버리면 어떨까 생각하여 관계자께 여쮜어 보았더니
법당이 좁아서 그렇게는 할 수 없고 대웅전 자체를 옆으로 옮기면 마애불도 정면에서
볼 수 있고, 불자님들께도 좋은데, 비용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고 하시더군요.
-끝-
보타사 마애불(普陀寺 磨崖佛)
곽숙경
普陀寺磨崖佛是曹溪宗개운사的庵子.
在大雄殿后边(儿)雕刻花岗岩岩壁造高丽时代的磨崖佛像.
这个佛像是1992年 6月 28日 首尔文化史学会的定期踏査时候(儿)发掘了.
那首尔市和文物管理所做公式要请各各文化財指定
首尔市文化財委員會核审的 结果有形文化財指定了.
低薄浮雕群磨崖佛像. 身体全体层粘敷粉胡粉是以常常已约了白佛,
白色象征着纯洁
高5m(米), 幅4.3m(米) 太大磨崖佛像是头旁边(儿)戴管.
有左右戴管尖儿纷繁的边饰椭누리개.
脸貌是丰满的脸盘儿颜面部特征.
宽敞和壮大肩形相是抱有高丽时代的磨崖佛像特征.
原来光环也臺座地方没有.
较宜任率 而且外形美观上也丰富美感. 簇新的衣服通身通生绢一样.
最近身体全体是白色再涂色,
红色的点唇,眼和眉,黑色勾轮廓.
磨崖佛像有在肩旁边(儿)左右有的切槽 应保护推定有的殿閣
磨崖佛像 右边(儿)下面有在銘文从制作佛像现在.
-끝-
'사이(間)에서 엿보기 > 길 위의 지나 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령산(사진)-임도 (0) | 2009.12.27 |
---|---|
비수구미 (0) | 2009.12.27 |
[2009.11.17] 비수구미-대암산-펀치볼 (0) | 2009.11.23 |
전곡리 구석기 (0) | 2009.11.16 |
경순왕릉 (0) | 2009.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