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
- 白 石
눈이 많이 와서 산엣새가 벌로 나려 멕이고
눈구덩이에 토끼가 더러 빠지기도 하면
마을에는 그 무슨 반가운 것이 오는가보다.
한가한 애동들은 어둡도록 꿩사냥을 하고
가난한 엄매는 밤중에 김치가재미로 가고
마을을 구수한 즐거움에 사서 은근하니 흥성흥성 들뜨게 하며
이것은 오는 것이다.
이것은 어늬 양지귀 혹은 능달쪽 외따른 산 옆 은댕이 예데가리 밭에서
하로밤 뽀오햔 흰김 속에 접시귀 소기름불이 뿌우현 부엌에
산멍에 같은 분틀을 타고 오는 것이다.
이것은 아득한 녯날 한가하고 즐겁든 세월로부터
실 같은 봄비 속을 타는 듯한 녀름볕 속을 지나서 들쿠레한 구시월 갈바람 속을 지나서
대대로 나며 죽으며 죽으며 나며 하는 이 마을 사람들의 으젓한 마음을 지나서 텁텁한 꿈을 지나서
지붕에 마당에 우물 둔덩에 함박눈이 푹푹 쌓이는 여늬 하로밤아베 앞에 그 어린 아들 앞에
아베 앞에는 왕사발에 아들 앞에는 새끼사발에 그득히 사리워오는 것이다.
이것은 그 곰의 잔등에 업혀서 길여났다는 먼 녯적 큰 마니가
또 그 집등색이에 서서 자채기를 하면 산넘엣 마을까지 들렸다는
먼 옛적 큰 아바지가 오는 것같이 오는 것이다.
아, 이 반가운 것은 무엇인가
이 히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은 무엇인가
겨울밤 찡하니 닉은 동티미국을 좋아하고 얼얼한 댕추가루를 좋아하고 싱싱한 산꿩의 고기를 좋아하고
그리고 담배 내음새 탄수 내음새 또 수육을 삶는 육수국 내음새 자욱한 더북한 삿방 쩔쩔 끊는 아루궅을 좋아하는
이것은 무엇인가
이 조용한 마을과 이 마을의 으젓한 사람들과 살틀하니 친한 것은 친한 것은 무엇인가
이 그지없이 枯淡하고 素朴한 것은 무엇인가
*김치가재미:북쪽 지역의 김치를 넣어 두는 창고, 헛간
*양지귀 : 햇살 바른 가장자리*은댕기 : 가장자리
*예대가리밭 : 산의 맨 꼭대기에 있는 오래된 비탈밭*산멍에 : 이무기의 평안도 말
*큰마니 : 할머니의 평안도 말*집등색이 : 짚등석, 짚이나 칡덩굴로 만든 자리
*자채기 : 재채기*희수무레하고 : 희끄무레하고
*삿방 : 삿(갈대를 엮어서 만든 자리)을 깐 방
*아르궅 : 아랫목 *고담(枯淡):(글, 그림, 인품 따위가) 속되지 아니하고 아취가 있음
백석의 이 시에서 음식물은 단순히 허기를 때우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특수한 시적 기능, 즉 민족과 민족성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음식이란 민족마다 문화의 독특한 영역을 차지하면서 그 음식물을 먹는
사람들의 체질이나 성격을 결정짓기도 한다.
백석이 전 국토를 유랑하면서 음식물에 그토록 집착한 이유는 바로 이런 데 있다.
국수를 먹으면서 어린 시절 국수와 얽힌 추억들을 통해 우리의 본래적인 삶을 상기하고
그것을 좋아하는 습성이 바로 우리의 민족성이라는 것을 발견하는 시이다.
시인이 국수를 통해 어릴 적 토끼 사냥, 꿩 사냥하던 추억,
겨울밤 쩡쩡 얼은 동치미 국물 마시던 추억을
되살려낼 수 있는 것은 음식물이 한 개인 내지 집안,
나아가서는 민족의 동질성을 결정짓기도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런 점에서 음식물은 경우에 따라 성스러운 것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국수를 먹으면서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반복하고 정의를 부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시인은 이 시에서 객지를 유랑하다가 국수를 통해 자기 몸 속에 흐르는 핏줄을 확인하고
현재의 삶과 상실된 과거의 민족적 삶을 대비시켜 역설적으로 식민지 삶을 환기시키고 있다.
1. 이 시에 많이 나오는 평안도 지방 사투리가 주는 효과는?
☞ 정겹다, 향토적, 토속적
2. 시 속에서 나타난 계절은?
☞ 겨울
3. 마을의 분위기는 어떠한가?
☞ 은근히 흥성흥성 들떠 있다.
4. 무엇이 마을 분위기를 들뜨게 하고 있을까? 시 속에 나오는 '이것'은 무엇일까?
☞ 국수
5. 국수를 반갑고 친밀하고 고담하고 소박한 것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러면 국수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시어를 한번 찾아 보자.
☞ 하로밤 뽀오햔 입김 속에서 산멍에 같은 분틀을 타고 온다
☞ 왕사발, 새끼 사발에 그득히 사리워 오는 것
☞ 이 히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은
6. 눈내린 겨울철의 산골 조그만 마을이 뜻밖에도 분주하고 흥성스러운 이유를 알겠제.
뭘하느라 이리 들떠 있나?
☞ 꿩사냥, 국수 만드는 일, 국수를 만들어 먹는 즐거움 때문에
7. 국수를 만드는 재료인 메밀이 익어가는 과정을 계절별로 나타내는 부분을 찾으면?
☞ 실같은 봅비 속을∼ 갈 바람을 지나서
8. 12행∼15행(이것은 아득한 옛날∼텁텁한 꿈을 지나서),
19행∼21행(이것은 그 곰의 잔등에∼큰 아바지기 오는 것같이 오는 것이다.) 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는?
☞ 설화적 분위기로 이 국수를 만들어 먹는 일이 오랜 전통을 가진 것으로 느껴지고 국수에 대한
친밀감을 더욱 강화시켜 준다.
9. 국수 만들어 먹는 일 하나로 마을 전체가 들떠 있다는 것은 평소
이 마을 주민들의 삶의 모습이 어떠함을 말해 주는가?
☞ 서로 돕고 어울리는 공동체적인 삶의 모습을 짐작하게 해준다.
(아마도 마을 아이들이 낮 동안 잡은 꿩고기를 장만하며 이웃집 부인네들이 부엌에서 함께 국수를 누를 것이고 남정네들은 또 한방을 차지하고 앉았고 노인네들이 또 한방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10. 국수와 곁들여 먹는 것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동티미국, 댕추가루, 산꿩고기
'북방에서' / 백석
아득한 옛날에 나는 떠났다
부여를 숙신을 발해를 여진을 요를 금을
흥안령을 음산을 아무우르를 숭가리를
범과 사슴과 너구리를 배반하고
송어와 메기와 개구리를 속이고 나는 떠났다
나는 그때
자작나무와 이깔나무의 슬퍼하든 것을 기억한다
갈대와 장풍의 붙드든 말도 잊지 않었다
오로촌이 멧돌을 잡어 나를 잔치해 보내든 것도
쏠론이 십리길을 따러나와 울든 것도 잊지 않었다
나는 그때
아모 이기지 못할 슬픔도 시름도 없이
다만 게을리 먼 앞대로 떠나 나왔다
그리하여 따사한 햇귀에서 하이얀 옷을 입고
매끄러운 밥을 먹고 단샘을 마시고 낮잠을 잤다
밤에는 먼 개소리에 놀라나고
아츰에는 지나가는 사람마다에게 절을 하면서도
나는 나의 부끄러움을 알지 못했다
그동안 돌비는 깨어지고 많은 금은보화는 땅에 묻히고 가마귀도 긴 족보를 이루었는데
이리하여 또 한 아득한 새 옛날이 비롯하는 때
이제는 참으로 이기지 못할 슬픔과 시름에 쫓겨
나는 나의 옛 한울로 땅으로 - 나의 태반으로 돌아왔으나
이미 해는 늘고 달은 파리하고 바람은 미치고
보래구름만 혼자 넋없이 떠도는데
아, 나의 조상은 형제는 일가친척은 정다운 이웃은
그리운 것은 사랑하는 것은 우러르는 것은
나의 자랑은 나의 힘은 없다 바람과 물과 같이 지나가고 없다.
------♡-♡--------------
하루 해 나오고
하루 비오고
하루 천둥번개치고
오늘...28일
비오고 천둥치고
잠시 숨쉬고 번개치고 바람불고
비오고 구름 지나가고...
나름 좋았다.
뜨거운 물 수시로 마시며
모처럼 평온하게 하루를 보내다.
<겨울이 온다: 윈터스 커밍>
국수가 너무너무 먹고시퍼서
묵은지 김치 한포기
협박공갈로 얻어왔습니다.
오직
멸치국물에 어간장 한숟갈넣은
뜨껍고 뜨거운 장국에
콧물 질질 흘리며
국수 오라기 둘둘 말아
입속에 넣으며
그래
겨울아 너 잘났다.
어여와라.
노란은행잎죄다 쓸고가고
이상색시 입에 바른 립스틱같은
뻘건 단풍잎 쑤썩거려도
맑은 국물소면말이로
견딜수 있다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