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만져보기/영화읽어보기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5월8일]

레이지 데이지 2010. 5. 23. 23:22

 

법구경 25장

 

382. 비록 젊다고 해도

부처님의 가르침에 전념하는 수도승은,

이 세상을 밝게 비추리라.

마치 구름을 벗어난 달처럼.

 

법구경(法句經)은 서기 원년 전후의 인물인 인도의 법구( 산스크리트어 : Dharmatrata, 法救)가 편찬한

불교의 경전 으로 석가모니 사후사후 삼백년 후에 여러 경로를 거쳐 기록된 부처의 말씀을

묶어 만들었다고 합니다.

 

불교경전에서 유래된 제목.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포토 보기 

 

박흥용 만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딱 이준익이 꿈꿀 작품이다. 여기에는 이준익이 <황산벌> <왕의 남자>를 통해 관객에게 건네온

이야기가 모조리 들어 있다. 정치는 부정하고 세상은 부조리하다. 민초는 스스로의 힘으로 계급사회의 모순을 돌파하는 꿈을 꾼다.

꿈은 꿈일 뿐이다. 결국 이준익의(그리고 박흥용의) 남자들은 장엄하게 실패한다.

 

 

 

 

무대는 임진왜란이 코앞에 닥친 1592년. 맹인 검객 황정학(황정민)과 야심가 이몽학(차승원)은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대동계’를 만들어 왜구와 싸우려 한다. 그러나 조정은 이들을 역모로 몰아세운 뒤 대동계를 해체시킨다. 대동계의 수장이 된 이몽학은 썩어버린 조정을 무너뜨리고 스스로 왕이 되기 위해 세도가 한신균 일가를 학살하며 역적을 도모한다. 황정학은 이몽학의 헛된 욕망을 멈춰세우기 위해 이몽학에 의해

아버지를 잃은 한신균의 서자 견자(백성현)를 훈련시키며 칼을 다시 빼든다. 마침내 일본군이 한양으로 쳐들어오고, 이몽학 역시 한양으로 입성하며, 황정학은 이몽학을 쫓는다.

 

이준익 감독은 견자의 1인 성장극이라고도 부를 법한 원작을 여러 캐릭터의 관계가 얽히고설킨 이준익 스타일의 마당극으로 만들었다.

견자, 황정학, 이봉학은 균등한 비중을 넘겨받았고, 여기에 무책임한 왕 선조(김창완), 이몽학의 연인인 백지(한지혜)를 비롯한 수많은

인물이 제각각의 역할을 하고 있다. <황산벌>과 <왕의 남자>의 결정적인 장점이었던 다시점의 마당극 스타일이 <구르믈 버서난 달에서>는 결정적인 단점으로 돌변한다. 일단, 인물이 지나치게 많고, 각각의 인물이 짊어진 풍자의 업보도 너무 크다. 진정한 이야기의 화자이자

성장담의 주인공이어야 할 견자는 그 사이에서 홀연히 휘발된다.

황정민, 차승원과 삼각대를 지탱해야 할 백성현의 연기가 지나치게 겉도는 탓이기도 하다.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언제나 허무주의적이었던 이준익의 사극 중에서도 가장 허무주의적인 영화다.

물론 박흥용의 원작 역시 아나키즘에 대한 불꽃 같은 시였다. 그러나 이준익은 박흥용의 아나키즘을 밀어붙인 뒤 거의 완벽한 정치적 냉소로 한탄한다. 영화적 허무주의는 종종 아름답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쏟아내는 감독의 철학이 캐릭터들의 생생한 매력을 거세하는 건 지적하고 넘어갈 만하다.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피가 아니라 신념으로 몸을 채운 인형극처럼 무디고 냉랭하다.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미학적 촌스러움을 지적받아온 이준익이 좀더 세련된 영화를 만들겠다는 야심을 날세운 영화다. 처음으로 이준익과 작업한 정정훈 촬영감독(<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은 확실히 몇번의 검술 액션 장면에서 근사한 능력을 발휘한다. 그러나 박찬욱과 함께 웰메이드 시대를 열어젖힌 정정훈의 능력으로도 전반적으로 정리가 덜된 프로덕션의 구멍을 메우긴 힘에 부친다.

황정민; 맹인검객- 황정학

'몽학이는 떨어지는 해를 잡으러 갔는데 그럼 몽학이는 구름이냐? 달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