旅行歌
- 서정주
行人들은 두루 이미 제집에서 입고 온 옷들을 벗고
萬里에
나라가는 鶴두루미들을 입고,
하늘의
텔레비젼에는
五千年쯤의 客鬼와
獅子 몇마리
蓮꽃인지 江갈대를
이마에 여서 피우고,
바람이 불어서
그 갈대를 한쪽으로 기우리면
나는 지낸밤 꿈 속의 네 눈섭이 무거워
그걸로 여기
한채의 새 절깐을 지어두고 가려 하느니
愛人이여
아침 山의 드라이브에서
나와 같은 盞에 커피를 마시며
인제 가면 다시는 안 오겠다 하는가?
그렇다
그것도 필요한 일이다.
因緣說話調
- 서정주
언제든가 나는 한 송이의 모란꽃으로 피어 있었다.
한 예쁜 처녀가 옆에서 나와 마주 보고 살았다.
그 뒤 어느날
모란꽃잎은 떨어져 누워
메말라서 재가 되었다가
곧 흙하고 한세상이 되었다.
그래 이내 처녀도 죽어서
그 언저리의 흙 속에 묻혔다.
그것이 또 억수의 비가 와서
모란꽃이 사위어 된 흙 위의 재들을
강물로 쓸고 내려가던 때,
땅 속에 괴어 있던 처녀의 피도 따라서
강으로 흘렀다.
그래, 그 모란꽃 사윈 재가 강물에서
어느 물고기의 배로 들어가
그 血肉에 자리했을 때,
처녀의 피가 흘러가서 된 물살은
그 고기 가까이서 출렁이게 되고,
그 고기를, ― 그 좋아서 뛰던 고기를
어느 하늘가의 물새가 와 채어 먹은 뒤엔
처녀도 이내 햇볕을 따라 하늘로 날아올라서
그 새의 날개 곁을 스쳐다니는 구름이 되었다.
그러나 그 새는 그 뒤 또 어느날
사냥꾼이 쏜 화살에 맞아서,
구름이 아무리 하늘에 머물게 할래야
머물지 못하고 땅에 떨어지기에
어쩔 수 없이 구름은 또 소나기 마음을 내 소나기로 쏟아져서
그 죽은 샐 사 간 집 뜰에 퍼부었다.
그랬더니, 그 집 두 양주가 그 새고길 저녁상에서 먹어 消化하고
이어 한 兒(영아)를 낳아 養育하고 있기에,
뜰에 내린 소나기도
거기 묻힌 모란씨를 불리어 움트게 하고
그 꽃대를 타고 올라오고 있었다.
그래 이 마당에
現生의 모란꽃이 제일 좋게 핀 날,
처녀와 모란꽃은 또 한 번 마주 보고 있다만,
허나 벌써 처녀는 모란꽃 속에 있고
前날의 모란꽃이 내가 되어 보고 있는 것이다.
'손으로 만져보기 > 詩의 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명인 (0) | 2024.09.06 |
---|---|
박규리 (0) | 2024.07.19 |
입춘_백석 (0) | 2022.02.05 |
나에게 보내는 편지_비스와바 심보르스카 (0) | 2021.08.14 |
息影_궤도를 그리면서 (0) | 2021.03.17 |